AI와 신앙

[AI와 신앙] ⑦ 하나님은 ‘비효율적인 만남’ 속에 계신다

복음돌아이, 애나 2025. 7. 31. 09:00

[AI와 신앙] ⑦ 하나님은 ‘비효율적인 만남’ 속에 계신다

하나님은 왜 이렇게 느리게 응답하실까?

반복되는 기도와 기다림 속에서 자라는 ‘비효율적인’ 신앙의 가치를 묵상합니다.

 

– 반복, 느림, 기다림 속에서 자라는 신앙 이야기


‘이게 무슨 의미가 있지?’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기도를 하고 나면 현실은 그대로였습니다.
말씀을 묵상해도 그날의 감정이 완전히 회복되진 않았습니다.
예배를 드려도, 돌아오는 일상은 다시 무거웠습니다.

 

그럴 때 문득 떠오른 말이 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지?”
신앙의 행위가 비효율적으로 느껴졌던 순간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하나님과의 만남은 처음부터 언제나 비효율적이었습니다.
빨리 답을 주시지 않았고,
즉시 해결해주시지 않았고,
단번에 바꾸시지도 않았습니다.

그 비효율의 시간 속에서

 

나는 ‘만남 자체’를 배우고 있었음을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

 

주님의 응답을 기다리며


1. 반복된 기도 속에 계신 하나님

한 문제를 놓고 계속 기도해본 적 있으신가요?
응답은 없고, 상황은 그대로인데
기도만 계속되는 날들.

그건 낭비가 아니라,
‘내가 하나님 앞에 계속 나아오는 것 자체’를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정답을 바로 주기보다,
‘그분을 향해 끊임없이 방향을 맞추는 마음’을 키우고 계셨습니다.


2. 느린 묵상 속에서 일어나는 내면의 변화

말씀을 읽어도 한 번에 감동이 오지 않는 날이 있습니다.
시편을 펼쳤는데 눈에 안 들어오고,
복음서를 읽었는데 어제랑 똑같은 구절.

하지만 그 느린 반복 속에서,
나도 모르게 마음에 ‘신앙의 문장’이 스며들고 있었습니다.

빠르게 감정이 변하는 세상에서
말씀은 천천히 깊게 내 삶을 변하게 하시는 도구였습니다.


말씀에 순종하는 천천한 삶
"느림은 변화의 속도가 아니라, 내면의 방향입니다."


3. 기다림의 시간은 응답보다 귀하다

우리는 결과를 바라고 기도하지만,
하나님은 기다리는 나를 통해 ‘성장’이라는 다른 응답을 주십니다.

모세는 40년을 기다렸고,
요셉은 감옥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그들의 기도는 실패가 아니었고,

 

하나님의 시간표는 언제나 사람보다 느렸습니다.

기다림은 낭비가 아닙니다.
신앙은 기다림 속에서 가장 선명해집니다.


4. 효율을 넘어선 만남, 그게 신앙이다

기술은 빠르고 편합니다.
AI는 정확하고 즉각적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렇게 역사하시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관계를 맺으시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관계는 효율이 아닙니다.
사랑은 계산이 아닙니다.

 

신앙은 어떤 면에서는 ‘의도적인 비효율’을 선택하는 삶입니다.


더디더라도 그분 앞에 머무는 선택

기도가 당장 응답되지 않아도,
말씀이 금방 감동으로 다가오지 않아도,
그 자리에 머무는 나를 하나님은 보고 계십니다.

세상은 점점 더 빠르고 스마트해지겠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천천히 일하십니다.
그리고 그 느림 속에,
진짜 만남과 변화가 있습니다.

 

오늘도 효율을 내려놓고,

다시 하나님 앞에 조용히 앉아보면 어떨까요?


당신의 기도는 얼마나 오래 기다렸나요?


하나님이 너무 멀고 느리게만 느껴졌던 순간,
그때의 감정을 댓글로 나눠주세요.

 

다음 글에서는 ‘영적 민감함’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볼게요.

👉 [AI와 신앙] ⑧ AI 시대, 진짜 영적 민감함이란 무엇일까?